국제물류위클리
International Logistics Weekly
제 733호
Contents
미주·중남미 물류 시장 동향
- 美,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전망에 따른 북미지역 주요 철송 운영사 난항 예상
미주·중남미 물류 시장 동향
美,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전망에 따른 북미지역 주요 철송 운영사 난항 예상
캐나다 퍼시픽 캔자스시티는 북미 3국 간 교역 증가를 예상해 ’23년 280억 달러 규모의 인수합병으로 북미 전역을 잇는 완전 통합형 화물 철도 네트워크 구축
- ’23년 4월, 캐나다 퍼시픽 철도(Canadian Pacific Railway Limited)는 캔자스시티 서던 철도(Kansas City Southern Railway)의 인수를 완료해 캐나다 퍼시픽 캔자스시티(Canadian Pacific Kansas City Limited, 이하 CPKC)로 사명을 변경함
- CPKC는 전략적 합병으로 북미 전역 약 32,000㎢ 철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캐나다~미국~멕시코를 단일노선으로 잇는 최초이자 유일한 철도기업으로 변모함
- 이 합병은 바이든 정부 출범 당시, 북미 3국 간 교역 증가를 예상해 태평양과 대서양 연안 캐나다 항만에서 미국 중서부를 거쳐 멕시코 제조 허브와 항만을 철도로 잇는 ‘T자형 삼각지대’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북미 무역 공급망 구축을 위한 투자로 해석됨
CPKC 북미 철도노선 현황

참조: CPKC가 직접 소유하지는 않으나 사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 철도노선도 포함
자료: https://www.wsj.com/ (검색일: 2024.11.23.)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첫날 멕시코와 캐나다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해 향후 북미 국경 간 철송 사업에 부정적 영향 예상
-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첫날 마약과 불법 이민을 문제 삼아 멕시코와 캐나다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면서 미국~멕시코 국경을 통과하는 화물열차 또한 불법 이민을 도모하는 주범으로 지적함
- 이에 지난해 미 정부는 멕시코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텍사스주 이글패스(Eagle pass)와 엘패소(El Paso)의 철도 건널목을 간헐적으로 폐쇄하기도 함
- 향후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라 캐나다, 멕시코 추가 관세로 물동량 규모 축소가 예상되면서 지난해 전체 매출의 41%가 북미 국경 간 철송에서 발생한 CPKC의 사업에도 난항이 예상됨
트럼프 당선 후 CPKC의 주가는 소폭 하락했으며, SNS를 통한 관세 부과를 선언한 11월 26일, 당선 전날(11월 5일) 기준 주가 -6.2%로 대폭 하락
- 특히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의 철강, 알루미늄 및 석유의 주요 원자재 공급처로 CPKC의 국경 간 운송의 주요 화물이 금속 및 광물, 농산물, 석유화학 및 플라스틱, 자동차 부품 및 완성차인 것을 고려했을 때 관세 부과에 따른 운송 수요 및 매출에 직격타가 예상됨
- 지난해 매출 119억 달러 중 약 32%가 미국~캐나다 국경 간 철송에서 발생한 캐나디안 내셔널 철도(Canadian National Railway)와 미국~멕시코 간 주요 철송 관문 6개를 모두 운행하고 있는 유일한 기업인 유니언 퍼시픽(Union Pacific) 또한 사업 운영에 난항이 예상됨
2023년 CPKC 지역별 운임 수익 현황

자료: CPKC (검색일: 2024.11.23.)
그러나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로 인한 불확실성이 장기적으로는 북미 간 운송 네트워크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
- 전문가들은 트럼프 1기 관세가 도입된 ’18년부터 ’23년까지 북미 3국 간 화물 운송량(금액 기준)이 오히려 28% 증가했으며 철송량 또한 같은 기간 17% 증가했다고 밝힘
- 특히 제조기업 입장에서 관세보다는 값싼 노동력과 제조 비용 절감이 니어쇼어링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므로 관세 부과에 따른 불확실성은 북미 간 운송 네트워크에 제한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함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