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물류위클리 로고
알림마당
센터소개공지사항
글로벌 물류시장 리포트
국제물류위클리물류시장동향
국제물류행사
CEO 포럼투자설명회
해외진출 지원사업
사업소개모집공고우수사례
  • 알림마당
    • 센터소개
    • 공지사항
  • 글로벌 물류시장 리포트
    • 국제물류위클리
    • 물류시장동향
  • 국제물류행사
    • CEO 포럼
    • 투자설명회
  • 해외진출 지원사업
    • 사업소개
    • 모집공고
    • 우수사례
ⓒ KOREA MARITIME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국제물류위클리

International Logistics Weekly

제 735호

Contents

미주·중남미 물류 시장 동향

  • 中 전자상거래 수요 감소, 2025년 글로벌 항공화물시장 성장 정체 전망

미주·중남미 물류 시장 동향

中 전자상거래 수요 감소, 2025년 글로벌 항공화물시장 성장 정체 전망

’24년 항공화물 시장은 중국發 이커머스 물량으로 전례 없는 화물 특수를 누리며 최근 1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와 수익률 기록

  • 올 초 항공화물 시장이 1~2%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 데 반해, 최근 1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와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업계 전문가들은 현 추세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측함
  • 컨설팅 기업 Rotate 전문가는 ’24년 전 세계 항공화물이 14% 증가했는데 상당 부분은 중국발 이커머스 물량 확대에 기인한다고 언급함
  • ’22년 이후 중국 이커머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 연평균 22% 증가했으며, 올해 전 세계 280만 톤의 수출 규모를 기록함
  • 또한 올 상반기 EU, 사우디아라비아, 한국, 말레이시아, 멕시코 및 대만 등 주요 6개 시장의 중국발 이커머스 거래량이 ’22년 동 기간 대비 14%에서 최대 73%까지 증가함

중국 이커머스 수출 규모(좌) 및 주요 국가별 중국 이커머스 수입 추이(우)

자료: Rotate 2024. aircargonews.net (검색일: 2024.12.17.)

그러나 글로벌 물류기업 DSV는 항공화물 시장의 안정화와 중국發 이커머스 물량 축소로 내년 항공화물 시장 성장률이 올 평균 11%의 절반에도 못 미칠 것으로 예상

  • 덴마크 물류기업 DSV는 분기 보고서를 통해 기업이 해상 공급망 중단(홍해 사태)에 완전히 적응하면서 항공 운송으로 전환되는 화물량이 안정화되었고, 국경 간 이커머스 물량의 감소로 인해 ’25년 항공화물 물동량은 보합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함
  • 특히 중국 이커머스 시장은 외부적으로는 미국의 저가 배송에 대한 엄격한 규제 강화와 더불어 내부적으로는 높은 시장 성숙도로 인해 중국 이커머스 제품 수요가 둔화하면서 중국발 항공화물도 크게 줄 것으로 예상함
  • 또한 테무, 셰인,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주요 이커머스 기업은 주문량이 많은 제품을 이미 항공에서 해상운송으로 변경하거나 미국 현지 창고에서 배송하도록 풀필먼트 모델을 조정하고 있다고 밝힘

주요 노선별 항공화물 적재율 및 2025년 항공화물 용량 증가율

자료: Xeneta (Load factors), Rotate Live Capacity Data (Aircraft Utilization), IATA Global Monthly Statistics, CH Aviation, Rotate Analysis (Sep. 2024) (검색일: 2024.12.17.)

일부 노선에서는 항공화물 용량(capacity) 부족에 따른 운임 상승도 예견돼 내년 항공화물 시장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Xeneta는 내년 항공화물 수요는 4~6% 증가하나 용량 증가는 4.4%에 불과해 수요 대비 공급(항공화물 운송력) 부족으로 단기적인 운임 상승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경로별 무역 불균형으로 인해 아시아~북미의 항공화물 적재율은 87%, 아시아~유럽 적재율은 86%나 북미~유럽의 적재율은 63%에 불과해 운임 불확실성은 일부 경로에만 해당할 것으로 전망됨
첨부파일
  • 이전글 [제735호] 글로벌 물류 시장 심층분석
  • 다음글 [제735호] 아세안 물류 시장 동향
목록
국제물류위클리 로고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관련사이트 바로가기
  • 옵션01
  • 옵션02
  • 옵션03

49111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26 (동삼동,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대표전화 : 051-797-4800 팩스 : 051-797-4810

ⓒ KOREA MARITIME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